목록Flutter (3)
햄발

Flutter 앱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는 asset과 로컬 폰트 설정 방법asset이란?asset은 앱 구성에 필요한 리소스 파일들을 의미합니다. 예로 아이콘, 이미지, JSON 파일, 폰트 파일 등이 있습니다.이러한 리소스는 앱 빌드 시 내부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pubspec.yaml 파일에 등록이 필요합니다.Text 위젯에서 로컬 폰트(fontFamily) 설정하기Flutter에서 Text 위젯의 fontFamily를 로컬 폰트로 설정하려면, asset으로 폰트를 등록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폰트https://fonts.google.com/ Browse Fonts - Google Fonts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

기초적인 Flutter 화면을 구성하는 패턴'package:flutter/material.dart' 임포트MaterialApp으로 메인 위젯 트리 감싸기title과 theme과 같은 속성 설정home : 속성을 주 페이지로 정의Scaffold :앱의 시각적 레이아웃에 대한 기본 구조 제공appBar 및 body와 같은 속성 설정레이아웃 요소 제공 (예 : AppBar, Drawer, BottomNavigationBar)각 구성요소는 또 다른 위젯으로 각각의 사용법은 이후에 정리하기로 함body에 실제 화면 관련 위젯 정의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void main() { runApp(MyApp());}// 상태 기반 UIclass MyApp extends St..

Everything is a Widge - Flutter의 핵심 철학 Flutter는 위젯 기반의 UI 프레임워크로, 모든 UI 요소를 위젯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개발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선언적 UI 구성 Flutter는 React에서 영감을 받은 선언적 프로그래밍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개발자는 원하는 UI 상태를 직접 선언하며, 프레임워크가 이를 효율적으로 렌더링합니다. 명령형 UI ViewA a = ViewA();ViewB b = ViewB();a.setColor(red) // 빨간색이 되어라b.setColor(yello) // 노란색이 되어라a.add(b) // b는 a의 child가 되어라 선언형 UI // 빨간색 A가 노란색 B를 child로 가지고 있다.r..